일본어를 잘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즉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기능이 필요하며,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 『일본어문법』은 회화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상황의 맥락 속에서 문법을 발견하고, 이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1과 형용사가 나오는 회화 제2과 자동사가 나오는 회화 제3과 타동사가 나오는 회화 제4과 보조동사가 나오는 회화 제5과 형식명사가 나오는 회화 제6과 복합조사·종조사가 나오는 회화 제7과 접속형식이 나오는 회화 제8과 조건형식이 나오는 회화 제9과 가능형식이 나오는 회화 제10과 수동형이 나오는 회화 제11과 사역형이 나오는 회화 제12과 사역수동형이 나오는 회화 제13과 존경어가 나오는 회화 제14과 겸양어가 나오는 회화 제15과 오용이 드러나는 회화
이경수
일본 히로시마(広島)대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졸업. (일본어)교육학박사 (전)한국일본어학회 회장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 저서: 『일본어문법의 달인이 되는 법』, 『사진으로 보고 가장 쉽게 읽는 일본문화』 등 • 교과서: 『중학교 생활일본어』, 『고등학교 일본어』(교육부, 시사일본어사) • 역서: 『일본어와 커뮤니케이션』(공역) 등
김은희
일본 오사카외국어(大阪外国語)대학 대학원 외국어연구과 졸업. 문학석사 일본 히로시마(広島)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졸업. 문학박사(언어학) •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일본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저서: 『관광일본어교육의 연구』, 『슈페리어관광일본어』(공저), 『실천항공서비스일본어』(공저), 『기본일본어교육학사전』(공저)
고쿠쇼 카즈미
동국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박사수료 • 현재: 동국대학교 일본학과 조교수 • 저서: 『다이어트 일본어』(공저), 『일본어I』(공저), 『중급일본어』(공저), 『히라가나부터 시작하는 JLPT N5』(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