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질병의 예방 측면에서 영양학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영양판정의 중요성과 그 활용성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영양판정은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자료, 신체측정 자료, 생화학적 분석자료, 임상적 증상 및 징후 등을 분석하여 영양 및 건강 상태를 진단 및 판정하는 학문으로 궁극적으로는 질병의 예방뿐 아니라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신체계측법, 생화학적 평가법, 임상적 평가법, 식이섭취평가법의 네 가지 영양판정의 이론을 충실히 설명하였으며, 이론과 더불어 실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최신의 근거자료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제1장 영양판정의 개요 1.1. 건강, 질병 그리고 영양판정 1.2. 영양판정의 정의 1.3. 영양판정의 체계 1.4. 영양판정의 방법 1.5. 영양판정의 활용–HP 2020의 예
제2장 식이의 측정 2.1. 식이 측정의 중요성 및 고려사항 2.2. 식이 측정 조사도구
제3장 영양섭취 판정기준 3.1.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요 및 제정방법 3.2.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