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모티브가 된 「보그」의 편집장 안나 윈투어는 작품 속 주인공보다도 더 막강한 권력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다. 그녀를 이와 같은 위대한 권력가로 만든 것은 바로 패션과 저널리즘이다. 패션 저널리즘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과 프랑스 등은 「보그」등의 유력 패션지(紙)를 통해 전 세계의 패션 및 문화 관련 산업에 막대한 영향력을 휘두르고 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패션과 저널리즘의 관계, 즉 문화와 산업으로서의 패션이 탄생하기까지 전 과정에 끊임없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스미디어의 모습을 비판적 시각으로 조명한다. 특히 패션 시장의 규모는 세계적 수준이면서 패션 저널리즘에 대한 인식과 수준은 턱없이 낮은 국내의 현실을 꼬집으며 이에 대한 관심과 전문 인력 양성을 촉구한다. 국내 패션 매체의 변화 및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다수의 시각 자료도 볼거리다.
시작하며
chapter 1. 패션, 패션 산업과 저널리즘
패션이란
패션의 탄생과 저널리즘
패션 트렌드·정보와 저널리즘
패션 상품·산업과 저널리즘
chapter 2. 패션 저널리즘
패션 저널리즘의 정의
패션 저널리즘의 특징과 기능
패션 저널리즘의 목적과 기본 요소
패션 저널리즘과 관련된 직종
패션 저널리즘과 패션 기사
패션 저널리즘의 비판
chapter 3. 신문 패션 저널리즘
신문 패션 저널리즘의 역사
신문 패션 저널리즘의 기능
신문 패션 저널리즘의 현황
신문 패션 저널리즘의 문제점
패션 업계 전문지
패션 업계 전문지 발전 과정
패션 업계 전문지의 기능
패션 업계 전문지의 저널리즘의 현황과 문제점
chapter 4. 잡지 패션 저널리즘
패션 잡지와 저널리즘
잡지 패션 저널리즘의 역사
잡지 패션 저널리즘의 특성
잡지 패션 저널리즘의 기능
패션 잡지의 유형
라이선스 패션 잡지
패션 잡지 화보의 스타일링
패션 잡지 현황과 문제점
chapter 5. 온라인 패션 저널리즘
방송 패션 저널리즘
인터넷 패션 저널리즘
마치며
손미영 (집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Parson’s School of Design, AAS Degree Ritsumeikan APU, 객원연구원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의류학 전공 교수 저서:『머천다이징: 이론, 원리, 그리고실제』,『 패션마케팅』, 『 패션머천다이징』, 『글로벌패션마케팅』,
『 21세기패션마케팅』, 』,『 패션과 문화』, 외 다수
이성희 (집필)
한국일보 생활과학부 차장. 현직 일간지 기자로는 처음으로 패션미학 및 정보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했고 같은 학교 의류직물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관훈클럽 신영연구기금 해외연수 장학생으로 2000년 미국의 패션전문스쿨 FIT(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New York, U.S.A.)에서 패션머천다이징과 매니지먼트를 공부했다. 패션과 패션 산업의 사회문화사적 의미, 성(gender)적 정치적 이슈와의 상호관계 등을 탐구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2005년 세계패션그룹 한국지부가 시상하는 ‘올해의 패션 저널리스트’ 상을 수상했고 대한민국패션대전 심사위원, 서울시 주최 서울패션위크 조직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 『 패션저널리즘 문제 연구』(2004), 『 패션과 신체 담론 연구』(2009)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