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문제는 곧 우리가 겪었던 ‘한국의 문제’이다. 일본의 식민지배, 열강의 세력 경쟁에 의한 내전과 강제이주, 독재, 개발, 민주주의, 산업화, 부패 등의 문제가 그렇고, 인종, 종교, 테러의 문제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분단, 지역과 소모적 이념 분쟁, 정치의 후진성과 사유화, 빈부 양극화, 엘리트 지배, 환경 파괴, 오염 등의 문제가 이들을 대신하고 있거나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아프리카 문제’가 곧 ‘우리 문제’라는 공동체적 인식과 이해의 기반 위에서 대아프리카 접근전략을 다각도로 짜는 것이 필요하다. 21세기 100년을 생각한다면, 한반도 통일의 문제와 아프리카 문제는 별개가 아니다. 아프리카가 겪고 있는 모든 문제를 북한이 그대로 안고 있으며, 빈곤, 질병, 기아, 보건, 독재, 개발, 이념 등은 북한 이해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각 장별 주제 소개
1장은 과거와 현재를 간략하게 고찰하여 어제와 오늘을 이어 주는 주제를 간추렸다. 2장에서는 종교가 아프리카 대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사례연구로 북부 나이지리아 카노에서 벌어진 이슬람교도와 기독교도 간의 충돌을 다루었다. 또한 아프리카 내에서 막강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이슬람의 법과 사회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3장의 주제는 개발로서, 이는 아프리카인의 생활과 삶의 새로운 기회라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주제이다. 아프리카 대륙의 민주주의 환경이 4장의 주제이며, 5장은 성(gender) 문제를 다룬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아프리카 여성은 부당하고 불리한 처지에 놓여 있다. ‘가난이 여성의 얼굴을 하고 있다(Poverty wears a female’s face.)’는 말을 들을 정도다. 6장은 엘리트를 둘러싼 문제와 근절하지 못하고 있는 부패문제를 다룬다. 7장의 주제는 날이 갈수록 시급해지는 두 가지 관심사인 질병과 인간안보이다. 8장은 전쟁과 폭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이 장은 또한 과거 11년간 전쟁에 시달리다가 현재는 발전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시에라리온에 대한 사례연구를 담고 있다. 8장의 특별 분석 편에서는 수단의 다르푸르 분쟁의 궤적을 살펴보았다. 테러행위를 다루는 9장은 이 문제가 아프리카와 국제사회를 얼마나 우려하게 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각 장마다 주제가 특별하고 다르지만, 이들은 서로 긴밀한 관계 속에 있고, 이에 대해 마지막 10장에서 결론으로 다룬다.
옮긴이 서문 ‘아프리카 문제’는 ‘우리 문제’
지은이 서문 세계가 우려하는 아프리카 문제의 오늘
제1장 어제와 오늘
과거를 돌아봄/ 문화와 발전에 관한 전통이론/ 사회변동과 전통/ 사회와 종교/ 오늘날의 아프리카
제2장 종교
이슬람과 기독교/ 독립/ 전통 종교/ 사례 연구: 나이지리아 카노의 종교집단간 충돌/ 종교 분쟁의 원인 분석: 이슬람, 법과 사회
이슬람 초기/ 이슬람과 자유주의/ 샤리아 법/ 처벌과 지하드
제3장 개발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신협력관계(NEPAD)/ NEPAD의 아프리카 상호 평가제도/ 새천년개발목표/ 원조와 무역
제4장 민주주의
선거정치와 아프리카
제5장 성
여성과 사회/ 여성과 분쟁/ 성 평등과 여성의 권한
제6장 부패
사법부패/ 정치부패/ 경제부패/ 반부패 조치/ 부패는 극복할 수 있는가
제7장 질병과 인간안보
심각한 건강 문제/ HIV/AIDS/ 인간안보/ 난민과 국내 강제이주자
제8장 분쟁, 무기, 재건
군사적 마르크스주의/ 아프리카로 무기 유입/ 평화와 안보 조치/ 사례 연구: 시에라리온
분석: 수단의 다르푸르 사태
다르푸르 사태/ 국제적 경보/ 종족 대학살의 문제/ 아프리카 문제에 대한 아프리카식 해결/ 석유와 유엔, 국가의 이해관계
제9장 테러
테러의 정의/ 급진단체/ 아프리카연합의 계획/ 테러와 범죄
제10장 결론
정치와 민주주의/ 테러 행위와 안보
주석 / 참고문헌 / 찾아보기
헤더 디건 (집필)
영국 런던의 미들섹스 대학교(Middlesex University)의 비교정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중동과 아프리카 상황에 관심을 두고 20년 이상 정치와 사회 상황을 연구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The Middle East and Problems of Democracy(1994), Third Worlds: The Politics of the Middle East and Africa(1996), Politics South Africa(2011) 등 연구서가 있다.
김현권 (번역)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불어불문학과/아프리카불어권 언어문화학과(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저·역서로 『언어의 이해』(공저),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인도유럽사회의 문화어휘 연구』등 다수가 있다.
김학수 (번역)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언어 및 기타 아프리카 언어와 관련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송정은 (번역)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아프리카불어권언어문화학과에 재학 중이다. 역서로 <레닌그라드의 성모마리아>, <광기의 해석>, <은행, 그 욕망의 역사>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