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과 문화』는 1부 식문화의 이해, 2부 한국의 식생활문화, 3부 세계의 식생활문화, 4부 식생활과 외식문화의 총 4부로 구성하였다. 1부에서는 문화와 식문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식생활의 기원과 변화 요인을 탐구하였고, 식문화의 보존과 미래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이어서 2부와 3부에서는 다양한 식생활문화를 대표하는 국가를 중심으로 식생활문화의 형성 배경과 특징, 대표하는 음식을 살펴보았고, 4부에서는 현대인의 외식소비 행태와 트렌드를 소개하였다. 『식생활과 문화』는 음식 자체에 대한 과학적 현상의 이해보다는 식생활과 식문화를 다학제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다양한 식문화를 존중하며, 보존과 융합의 가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교재를 통해 미래에 풍요로운 식문화를 만들어 갈 책임 있는 현대인의 역할을 생각해 보기 바란다.
제 1 부 식문화의 이해 제 1 장 식생활의 기원과 발달 제 2 장 문화와 식문화 제 3 장 식문화 형성 요인 제 4 장 식문화의 보존과 미래
제 2 부 한국의 식생활문화 제 5 장 한국 식생활문화의 변천사 제 6 장 한국 음식
제 3 부 세계의 식생활문화 제 7 장 아시아의 식생활문화 제 8 장 유럽의 식생활문화 제 9 장 아메리카의 식생활문화 제 10 장 오세아니아와 아프리카의 식생활문화
제 4 부 식생활과 외식문화 제 11 장 외식문화 트렌드
김선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박사 한국식품연구원 선임연구원 역임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교수
고성희
성신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졸업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박사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바이오헬스융합학부 식품영양전공 교수
이영미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 이탈리아 볼로냐국립대학교 음식문화와 역사 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박사 현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정윤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졸업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강의전담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