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의 농업환경은 수자원의 고갈과 오염, 비료와 농약의 사용량 증대, 지구온난화, 산성비, 이상기후 등 자원과 환경의 제약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농업여건과 재배양식이 달라지고 농업환경이 제한되더라도 식량공급은 농업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농업생산의 기본원리는 변하는 것이 아니며, 그 기본원리는 유전성·재배환경·재배기술이 균형을 이루었을 때 최대의 수량을 올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 본 교재 『재배학원론』의 존재이유와 중요성이 있다. 제1부에서는 ‘재배식물의 기원과 분류’를 다루어 작물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했으며, 제2부 ‘작물의 유전성’에서는 작물의 품종과 유전·육종, 유전자원 등에 대해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자연환경 속에서 작물생육의 장(場)인 경지로서의 ‘재배환경’이 작물생육에 미치는 중요성을 제시했고, 제4부에서는 ‘재배기술’이 작물의 수량형성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특히 작물의 수확 후 품질에 대한 내용을 새로 추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