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개정판은 2010년 초판 출간 이후 ‘슈퍼자미벼’에 관한 후속 연구 결과와 최신 정보를 추가한 것이다. ‘슈퍼자미벼’는 항암·항아토피·항당뇨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안토시아닌 성분 중 기능이 뛰어난 시아니딘 3-글리코사이드가 다량 함유된 품종으로서,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쌀의 이용 범위를 확대시켜 주고, 궁극적으로 쌀의 생산 기반인 논(畓)을 유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식량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나라인 데에도 남아도는 쌀의 처리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축복받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쌀의 가치는 떨어지고 농업인은 더욱 힘들어하고 있다. 이러한 쌀에 대한 홀대 기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쌀이 단지 식량 생산의 단순 의미를 넘어 건강, 기능성을 갖춘 품종 개발과 같은 신소재 개발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 다루는 ‘슈퍼자미벼’는 바로 이러한 원천기술로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벼는 자연생태계 속에서 생산을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풍부한 수자원의 확보와 물 흐름 조절 등을 통하여 국토를 보전함과 동시에 영구적으로 연작이 가능한 대표적인 작물이다. 이 책이 쌀을 중심으로 한 식생활의 훌륭한 점을 재평가하고, 주식(主食)을 스스로 자급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지극히 당연한 진리를 재인식하게 하여, 생산성 있는 논을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일의 가치를 다시금 일깨워 줄 것으로 기대한다.
류수노(柳守魯)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졸업(농학사). 충남대학교 대학원(농학 석사, 박사)
일본 나고야대학 식품과학부 객원연구원. 미국 University of Rutgers(Post Doc.)
주요성과
학술저서 : 「자원식물학」 등 10권
논문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nthocyanin Pigment in Some Varieties of Black Rice」등 123편
특허 : 「多量の天然色素 C3G 含有水?種子」등 국제특허 5건
「C3GHi 벼 신품종의 육종방법」등 국내특허 11건
신품종 개발 : 「슈퍼자미」등 7건
수상
한국작물학회 학술상(한국작물학회 회장)
연구분야 신한국인상(대통령)
제18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제11회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대상(농림수산식품부장관)
제14회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 대상(교육과학기술부장관)
제16회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 대상(농림축산식품부장관)
2010년 대한민국 100대 연구성과패 수상(교육과학기술부장관)
교수 연구 분야 최우수상(총장)
교수 교육 분야 최우수상(총장)
Vision 2010 대한민국 교육혁신 대상(서울신문사 사장)
경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교수(현재), 슈퍼자미장학회 이사장(현재),
한국작물학회 회장(전),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부회장(전),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공동회장(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획처장(전), 대전충남지역대학 학장(전), 충북지역대학 학장(전) 등
현재 회원님의 휴대폰번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문화원에서는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주민등록번호를 취급하지 않고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본인인증 정책을 새롭게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회원님의 휴대폰번호가 필요합니다. 마이룸의 ‘내정보 수정’에서
휴대폰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