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문화교양학과에서 다루는 다양한 주제를 골라 그 주제의 의미와 문화교양학과에서 그 주제를 다루는 관점, 그리고 문화교양학과에서 공부하는 분들이 그 주제와 관련해 생각해 보았으면 하는 점 등을 담았다. 덧붙여 왜 문화교양학과에서 이들 주제를 다루며, 그 주제와 관련된 교과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략한 설명을 첨부함으로써 문화교양학과의 공부를 시작하는 분들의 이해를 돕는 데 중점을 두었다.
문화교양학과의 교과목이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고 있는 이유는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교양의 폭이 그만큼 넓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렇게 교양의 폭이 넓어진 이유는 현대사회가 그만큼 복잡하기 때문이다. 교양의 주요한 요소는 결국 자신의 관점을 정립하고 그에 입각해 주체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인데, 이 판단을 내리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와 알아야 할 사항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것이다. 문화교양학과의 다양한 교과목은 그저 구색을 맞추기 위해서나 지적 유희를 위해서가 아니라 현대사회에서의 진정한 교양인이 되기 위해 필수적인 지식을 담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문화교양학과 공부 전체에 대한 대체적인 윤곽을 잡고 각 교과목에서 심화된 내용을 접한다면 그 의미가 좀 더 확실히 잡힐 것이다. 처음에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지 몰라도 차근차근 공부하다 보면 각각의 주제에 대한 흥미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주제 1 총론: 문화, 교양, 문화교양학과
강의 I 문화와 교양의 개념
1. 문화의 개념
2. 문화의 성격
3. 교양의 개념
4. 생존의 문제로서 문화와 교양
강의 II 교양교육과 자유인, 그리고 문화교양학과
1. 선택의 어려움
2. 교양교육과 자유인의 형성
3. 과거의 교양교육, 현대의 교양교육
4. 문화의 역동성과 문화교양학과
주제 2 대중문화: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1.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2. 대중문화의 형성과 발전
3. 대중문화의 특성
4. 왜 대중문화를 공부해야 하는가
주제 3 정보기술: 정보기술과 현대사회의 변화
1. 정보기술의 발달
2. 정보기술을 보는 관점
3. 정보기술과 현대사회의 변화
주제 4 예술: 예술의 주체적 수용을 위하여
1. 예술과 근대사회
2. 예술의 중요성
3. 그러나 즐기기 쉽지 않은 예술
4. 하지만 예술은 편견을 지니고 있다
5. 문화교양학과와 예술
주제 5 세계사: 21세기에 돌아보는 지구의 역사
1. 들어가며
2. 왜 세계의 역사인가
3. 1945년까지의 세계
4. 1945년 이후의 세계
5. 나가며
주제 6 한국사: 한국사의 가치 지향, ‘민본’에서 ‘민주’로
1. 들어가며
2. 조선사회의 가치 지향
3. 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4. 해방, 민주공화제를 향한 고단한 걸음
5. 나가며
주제 7 정치: 다문화 시대의 민주주의
1. 변화하는 한국사회, 낯선 얼굴의 한국인들
2. 다문화주의 시대, 민주주의와 차별의 문제
3. 다문화 시대의 문화적 갈등의 사례들
4. 지구촌 시대,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로서 문화적 다양성
주제 8 경제: 신자유주의 시대의 경제와 삶의 불안
1. 신자유주의 시대, 우리 삶의 모습들
2. 자본주의의 역사: 고전적 자유주의 시대에서 복지국가 시대까지
3. 신자유주의 시대: 선택하는 소비자로서만 자유로운 개인
4. 일상의 전면적인 상품화와 삶의 불안
5. 신자유주의를 벗어난 삶을 모색하기 위한 토대로서의 문화와 교양
주제 9 여성: 남성과 여성의 전 지구적인 평등과 연대를 위하여
1. 왜 성차별과 여성학에 대해서 생각해야 하는가
2. 여성혐오와 가부장제, 그리고 자본주의
3. 평등한 사회를 위한 노력들
4. 소통과 연대의 사회를 위하여
주제 10 공동체: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와 거버넌스
1. 왜, 다시 마을인가
2. 더불어 나누는 삶과 그 터전, 공동체
3.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4.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와 거버넌스
5. 상향식 발전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6.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위한 마을만들기의 과제
7. 열린사회와 21세기: 왜 마을과 협동의 삶을 공부해야 하는가
주제 11 과학: 교양으로서의 과학기술
1. 과학기술은 교양이 될 수 있는가
2. 우주비행선과 입자가속기: 과학인가 기술인가
3. 과학과 기술은 갈라지지 않는다
4. 과학기술은 정신 영역에도 영향을 준다
5. 21세기의 과학기술은 어떻게 다른가
6. 현대사회를 알려면 과학기술도 알아야 한다
주제 12 생태: 생태위기와 생태적 전환
1. 생태위기
2. 에너지 시스템의 생태적 전환
3. 물 수급의 전환
4. 식량 생산방식의 전환
5. 생태적 전환과 생태적 삶
주제 13 철학: 인간과 자연의 우주적 연대
1. 들어가며
2. 전통적 인간관의 붕괴와 근대 기계론적 세계관의 등장
3. 동서양의 생태주의적 세계관
4. 인간의 참된 욕망
주제 14 동양철학: 우리가 동양철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1. 들어가며
2. 동앙철학을 다시 살펴야 하는 이유
3. 동양철학과 인간의 형성
4. 동양의 유학사상과 사회·정치의 관계
5. 현대사회에서 동양철학의 새로운 의미와 기능
주제 15 종교: 종교와 사회적 삶
1. ‘초월 또는 구원’에 대한 관심: 인간 실존의 특징
2. 종교의 정의
3. 왜 믿는가, 왜 믿어지는가: 종교 체험의 구조와 본질
4. 종교의 제도화
5. 종교의 세속화와 딜레마
6. 종교의 순기능과 역기능
7. 현대의 한계상황적 성격과 종교 연구의 중요성
이정호 (집필)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오리엘 칼리지 객원교수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명예교수
정준영 (집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박사)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이혜령 (집필)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박사)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송찬섭 (집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박사)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백영경 (집필)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인류학과(박사) • 현재: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창언 (집필)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박사)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전임대우 강의교수
진보성 (집필)
대진대학교 철학과 졸업 대진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철학박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 졸업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전임대우 강의교수
이필렬 (집필)
서울대학교 화학과 졸업 독일 베를린대학교 화학과 및 동 대학원(자연과학 박사)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