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정보사회의 도래와 함께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이해하고 그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 교재에서 다루는 쟁점은 정보사회에서 개인의 상황에서부터 언론환경의 변화와 여성의 삶의 변화, 새로운 예술의 등장과 발전, 세계화 시대의 지역문화 등 다양한 부분에 걸쳐 있다. 또 정보사회에서 대규모로 상실될 위험성을 지닌 디지털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련된 쟁점 역시 다루고 있다. 이 교재가 정보사회의 디지털 문화와 연관된 쟁점들을 모두 포괄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주요 쟁점들을 확인하고 그것을 바라볼 관점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 책에서 다루지 않은 쟁점과 관련하여 이해의 방법을 시사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제1장 정보사회에서의 개인: 네트워크 속에서의 자유와 고립 제2장 정보사회와 개인 자유 제3장 생명의 정보화: 정보기술과 생명기술의 융합이 가져오는 사회의 변화 제4장 정보사회와 언론의 변화 제5장 정보사회의 예술과 문화 제6장 정보화와 여성: 정보격차의 문제와 양성평등을 위한 정보기술의 활용 제7장 디지털 문화의 기록과 문화유산기관 제8장 디지털 기록유산의 유형별 보존 제9장 기술을 보는 관점 제10장 정보사회: 세계화와 지역화, 양극화 제11장 정보사회의 지역, 문화, 정체성 제12장 인터넷 반세기: 과거의 역습, 미래를 살기
정준영 (집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백영경 (집필)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 석사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대학원 인류학 석사 및 박사 (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소연 (집필)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오스틴) 대학원 문헌정보학 박사 (현)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